<대비표 1>
<대비표 2>
<기재표 1>
{별지 1}
{별지 2}
이 사건 확인대상발명의 설명서 및 도면(2013. 12. 13. 보정된 것)
가. 이 사건 확인대상발명의 명칭: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나.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2 의 분해사시도
도 3 ~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지봉 2: 수평바 10: 고정지지구 20: 제1연결부 30: 제2연결부 40: 가동지지구 50: 복귀스프링 60: 제1신축부재 70: 제2신축부재
80: 스토퍼 90: 보조스프링 100: 신축기구 21: 후방절곡돌부 31: 전방절곡돌부 3, 4, 5, 6: 축부재 61: 톱니부 62: 돌출벽 63: 경사면
64: 가이드벽 71: 전면판 72: 측판 73: 가이드통로 81: 상측걸림돌기 82: 하측걸림돌기 83: 회전축
다. 이 사건 확인대상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 사건 확인대상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에 관한 발명이다. 특히 이 사건 확인대상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을 보다 미세하게 위치조정 가능하게 하며, 안정성과 작동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유지보수비용도 절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사건 확인대상발명에 의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는, 『시트에 장착되며 소정거리 이격된 한 쌍의 수직바와 이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
결하는 수평바(2)가 마련된 지지봉(1);
지지봉(1)의 수평바(2)의 중앙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지지구(10);
고정지지구(10)의 전방에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제1연결부(20) ;
상기 제1연결부(2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제2연결부(3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공을 밀착 관통하며 상기 수평바(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축부재(4)를 갖는 가동지지구(40);
고정지지구(10)의 후방에 하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축부재(4)의 외주면을 밀착 감싸는 결합공이 상단에 형성된 제2연결부(30) ;
상기 제2연결부(30)와 고정지지구(10)사이에서 축부재(6) 상에 지지되어 직선이동된 가동지지구(4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50) ;
상단이 제1연결부(2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며 하단이 제2연결부(3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에 의해 감싸지며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의 회동에 따라 신축되는 신축기구(100)를 구비하며,
상기 신축기구(100)는,
상단이 제1연결부(2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며, 복수의 톱니부(61)가 형성되어 있는 제1신축부재(60),
하단이 제2연결부(30)의 하단에 힌지결합된 제2신축부재(70),
제2신축부재(7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에 치합되고 이탈되는 상측걸림돌기(81)가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80),
제2신축부재(70)와 스토퍼(80) 사이에 배치되어, 스토퍼(80)가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에 걸려지도록 상기 스토퍼(80)를 소정각도 탄력적으로 회전시켜서 치합을 유지시키는 보조스프링(90)을 구비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 사건 확인대상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각 구성들 간의 유기적 결합 관계에 대해 이 사건 확인대상발명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는 시트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봉(1)의 수평바(2)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바(2)와 평행한 축부재(5, 6)를 갖는 고정지지구(10)와, 하단이 상기 고정지지구(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상기 축부재(5, 6)에 의해 힌지결합된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와, 이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의 상단에 결합되어 고정지지구(10)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공을 밀착 관통하는 상기 수평바(2)와 평행한 축부재(3, 4)를 갖는 가동지지구(40)와, 전방으로 이동된 가동지지구(40)를 후방으로 원상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50)과, 상단이 제1연결부(20)에 힌지결합되고 하단이 제2연결부(30)에 힌지결합된 신축기구(10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지지구(10)는 금속판을 단면 "U"자형 또는 "."형으로 절곡시킨 것으로, 그 저면이 지지봉(1)의 수평바(2) 중앙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가동지지구(40)는 하측이 단면 "∩"자형으로 이루어져서 양측이 제1 및 제2연결부(20, 30)의 상부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연결부(20)는 고정지지구(10)와 가동지지구(40) 사이의 전면부를 가로질러 놓여지고, 양측에 후방으로 절곡된 후방절곡돌부(21)가 구비되며, 이 후방절곡돌부(21)의 하부 양측 및 상부 양측에 각각 고정지지구(10) 및 가동지지구(40)와 축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하단이 고정지지구(10)의 전방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2연결부(30)는 고정지지구(10)와 가동지지구(40) 사이의 후면부를 가로질러 놓여지고, 양측에 전방으로 절곡된 전방절곡돌부(31)가 구비되며, 이 전방절곡돌부(31)의 하부 양측 및 상부 양측에 각각 고정지지구(10) 및 가동지지구(40)와 축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형성된 결합공이 축부재(4)의 외주면을 밀착 감싼다.
상기 복귀스프링(50)은 제2연결부(30)와 고정지지구(10) 사이에서 축부재(6)상에 지지되는 L자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제2연결부(30)가 고정지지구(10)에 대해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탄성가압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연결부(20, 30)의 하단 및 상단이 고정지지구(10)와 가동지지구(40)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제1 및 제2연결부(20, 30)의 상부가 고정지지구(10)를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가동지지구(40)는 전후진된다.
상기 신축기구(100)는 상단이 제1연결부(20)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제1신축부재(60)와, 이 제1신축부재(60)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제2연결부(30)의 하단에 힌지결합된 제2신축부재(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신축부재(60)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가동지지구(40)에 축결되는 결합공이 좌우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이 결합공과 제1연결부(20)의 상단 결합공에는 동일한 축부재(3)가 축결합된다.
제1신축부재(60)의 제2연결부(30)와 마주하는 후면에는 톱니 형태의 다수의 톱니부(6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형성된다. 제1신축부재(60) 최하단의 톱니부(61)의 하측에는 돌출벽(62)이 톱니부(61)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돌출벽(62)의 톱니부(61)와 접하는 일측면에는 경사면(63)이 형성된다.
상기 제2신축부재(70)는 전면판(71)과 양 측판(7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가이드통로(73)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채널 형상이며, 하단 양측에는 고정지지구(10)와 축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이때, 제2신축부재(70)의 결합공과 제2연결부(30)의 하단 결합공에는 동일한 축부재(6)가 축결합된다. 한편, 축부재(4, 5)는 각각 제2연결부(30)의 결합공과 가동지지구(40)를 연결하는 축부재 및 제1연결부(20)의 결합공과 고정지지구(10)를 연결하는 축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제1신축부재(60)의 하단이 제2신축부재(7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가이드통로(73)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가동지지구(40)가 전후진되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의 가이드통로(73)를 따라 슬라이딩됨에 따라 신축기구(100)가 신축된다.
이와 같은 신축기구(100)는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 사이에 위치될 뿐 아니라 제1연결부(20)의 양측 후방절곡돌부(21) 및 제2연결부(30)의 양측 전방절곡돌부(31)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수평위치조절구의 측면에 기어치가 그대로 노출되던 종래와 달리 톱니부(61)가 형성된 신축기구(100)가 수평위치조절구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어 안정성 및 작동신뢰도가 향상된다.
상기 스토퍼(80)는 상기 신축기구(100)의 신축작동을 멈추게 하는 것으로, 제2신축부재(70)의 측판(72)을 연결하는 회전축(8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신축부재(6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스토퍼(8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측걸림돌기(81) 및 하측걸림돌기(82)가 회전축(83)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83)은 하측걸림돌기(82)와 근접 배치되도록 상측걸림돌기(81)와 하측걸림돌기(82) 사이에 구비되며, 제1신축부재(60)의 돌출벽(62)은 상측걸림돌기(81)와 하측걸림돌기(82)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상측걸림돌기(81)는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에 걸려서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의 가이드통로(73)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신축기구(100)가 신축되는 것을 멈추게 한다.
이와 같이, 신축기구(100)의 신축이 멈춤에 따라 제1연결부(20)가 고정지지구(10)에 대해 위치가 고정되어 가동지지구(40)도 위치 고정된다.
상기 하측걸림돌기(82)는 제1신축부재(60)의 돌출벽(62)의 타측면과 충돌됨에 따라 스토퍼(80)가 회전축(83)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해준다. 이때, 스토퍼(80)는 상측걸림돌기(81)가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에 걸려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스토퍼(80)를 회전위치에 따라 상측걸림돌기(81)가 톱니부(6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도록 탄성지지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도록 탄성지지하는 원호형의 보조스프링(9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에 상기 스토퍼(80)의 상측걸림돌기(81)가 치합 또는이탈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의 작동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가동지지구(40)가 복귀스프링(50)에 의해 후방으로 끝까지 밀려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스토퍼(80)의 상측걸림돌기(81)가 최상단의 톱니부(61)에 걸려짐에 따라 신축기구(100)가 신축되는 것이 멈춰서 제1연결부(20)가 고정지지구(10)에 위치 고정되므로 헤드레스트가 최후방에 위치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밀면, 제1연결부(20)의 상부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에서 슬라이딩함에 따라 스토퍼(80)의 상측걸림돌기(81)가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들을 타고 넘게 된다.
이때, 밀던 힘을 해제하면 스토퍼(80)의 상측걸림돌기(81)가 하측의 다른 톱니부(61)에 걸려 신축기구(100)의 신장이 멈추므로 제1연결부(20)가 위치 고정되어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 이때, 복귀스프링(50)은 탄성가압된 상태이다.
헤드레스트가 원하는 위치에서 좀 더 전방으로 이동된 경우 도 4와 같이 헤드레스트를 완전히 전방으로 밀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에서 더욱 슬라이딩되어 스토퍼(80)의 상측걸림돌기(81)가 제1신축부재(60)의 돌출벽(62)의 경사면(63)을 따라 상승하여 제1신축부재(60)가 스토퍼(80)에 걸려진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보조스프링(90)이 스토퍼(80)의 상향걸림돌기(81)가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에 밀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스토퍼(80)를 탄성지지하여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의 가이드통로(73)를 따라 하강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탄성가압된 복귀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및 제2연결부(20, 30)의 상부가 고정지지구(10)에 대해 후방으로 회동되어 헤드레스트가 최후방으로 이동된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제1신축부재(60)가 제2신축부재(70)의 가이드통로(73)를 따라 하강되면서 돌출벽(62)이 스토퍼(80)의 하측걸림돌기(82)에 부딪침에 따라 스토퍼(80)가 회전축(83)을 중심으로 상측걸림돌기(81)가 톱니부(6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다시 전방으로 당기면서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한편, 제1신축부재(60)의 최상단 톱니부(61)의 상측에는 스토퍼(80)의 상측걸림돌기(81)가 제1신축부재(60)의 톱니부(61)에 밀착되도록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벽(64)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 사건 확인대상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을 보다 미세하게 위치조정 가능하게 하며, 안정성과 작동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유지보수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라. 도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