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지 2]
확인대상발명
1. 명칭: 곡관 제조장치
2. 도면의 간단한 설명
(1) 도 1은 확인대상발명의 곡관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2) 도 2는 확인대상발명의 상부틀이 하강하여 하부틀과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3) 도 3은 확인대상발명의 상부틀과 하부틀 사이에 파이프 소재가 투입되고
가압부가 맨드릴 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4) 도 4는 만곡로에서 맨드릴과 상·하부틀의 만곡환상간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5) 도 5는 확인대상발명의 가압부에 의해 파이프 소재가 맨드릴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6) 도 6은 파이프 소재가 끼워진 맨드릴이 제1구동모터 및 가변부재에 의해가변부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되어 회동부재의 상부면에 안착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7) 도 7은 맨드릴에 끼워진 파이프 소재에 탈거부재가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사시도이다.
(8) 도 8은 제2구동모터에 의해 회동부재가 회동하면서 회동부재 일측에 결합된 탈거부재에 의해 파이프 소재가 맨드릴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도시한사시도이다.
(9) 도 9는 탈거유닛을 형성하는 각 구성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 및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3. 상세한 설명
[1] 확인대상발명은 금형틀에 의해 제조된 곡관을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탈거할 수 있는 곡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인대상발명의 곡관 제조장치는 하부틀(A100), 상부틀(A200)26), 맨드릴(A300), 맨드릴회동유닛(A400), 가압부(A500) 및 탈거유닛(A60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맨드릴회동유닛(A400)은 가변부재(A410) 및 제1구동모터(A420)를 포함하고, 탈거유닛(A600)은 구동모터(A510), 회동부재(A620), 결합핀(A630), 탈거부재(A640), 가이드부재(A650) 및 보조결합핀(A6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3] 하부틀(A100)은 상면에 파이프 소재(P)가 투입되는 투입로(A) 및 파이프소재(P)가 만곡되는 만곡로(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틀(A200)은 하부틀(A100)에 대하여 승,하강되도록 형성된 상부틀승하강유닛(A210)에 설치되는것으로, 하부틀(A100)과 상하 대칭되어 하면이 하부틀(A100)의 상면과 형합되도록 형성된다.또한, 하부틀(A100) 및 상부틀(A200)에 형성된 투입로(A) 및 만곡로(B)는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면이 반원 형상이므로, 하부틀(A100)과 상부틀(A200)이 면접을 통해 형합되면 그 단면은 원형 형상이 되어 파이프 소재(P)가 진입할 수 있는 갱도가 형성된다.
[4] 이때, 하부틀(A100) 및 상부틀(A200)은 소구경뿐만 아니라 대구경의 곡관이 성형 가능하도록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투입로(A)에 투입되는파이프 소재(P)는 만곡로(B)를 따라 곡관으로 성형하기 적합하도록 일반적인관상의 금속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5] 맨드릴(A300)은 후술할 가압부(A500)에 밀려 투입로(A) 및 만곡로(B)를따라 진입하는 파이프 소재(P)에 삽입되면서 파이프 소재(P)를 직접적으로 만곡시켜 곡관으로 성형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로(B)의 곡률반경을 따라 삽입 설치되도록 하부틀(A100)과 상부틀(A200)의 만곡로(B)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만곡로(B)와 맨드릴(A300) 사이에는 상호 이격된 공간인 만곡환상간격(G)이 형성된다.
[6] 또한, 맨드릴(A300)의 일측에는 만곡로(B)와 이어지는 투입로(A)의 영역에서 작은 반경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A310)가 형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파이프 소재(P)를 곡관으로 형성할 때, 파이프 소재(P)의 내측 곡률면이 찌그러지고 외측곡률면이 얇아지는 형상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감안한 것으로, 서로 간에 기울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초 접촉시 작은 면적 및 접촉점으로 접촉하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기 때문이다.
맨드릴회동유닛(A400)은 가변부재(A410)와 제1구동모터(A420)를 포함하여형성되는 것으로, 가변부재(A410)는 가변부재(A4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만곡로(B)에 삽입되지 않는 맨드릴(A300)의 말단부에결합된다.
[7] 또한, 제1구동모터(A420)는 좌, 우 양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맨드릴(A300)이 승·하강 되도록 형성되는 맨드릴승하강유닛(A320)에 결합되는것으로, 제1구동모터(A420)의 회전축은 가변부재(A410)의 중심축에 결합된다.
[8] 가압부(A5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틀(A100)과 상부틀(A200)의 투입로(A)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가압부(A500)의 선단면에는 제1연장부(A310)와 맞물리는 제2연장부(A510)가 형성된다.
[9] 이때, 제2연장부(A510)는 투입로(A)에 삽입된 파이프 소재(P)의 긴 변에접촉하여 만곡환상간격(G)으로 밀어주도록 형성된다.
[10] 이는 가압부(A500)가 이동하는 투입로(A)는 직선구간이고, 맨드릴(A300)이 삽입 배치되는 만곡로(B)는 곡선구간이므로, 맨드릴(A300)에는 만곡로(B)와 이어지는 투입로(A)의 영역까지 연장된 제1연장부(A310)를 형성하고, 가압부(A500)의 선단면에는 제1연장부(A310)와 맞물리는 제2연장부(A510)를 형성하여 가압부(A500)와 맨드릴(A300)의 접촉면이 형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11] 한편, 확인대상발명의 곡관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하부틀(A100), 상부틀(A200), 맨드릴(A300), 맨드릴회동유닛(A400) 및 가압부(A500)에 의해 곡관으로 성형된 파이프 소재(P)를 추출하기 위하여 탈거유닛(A60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탈거유닛(A60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A500)에 의해 만곡환상간격(G)으로 밀려 만곡되고, 맨드릴회동유닛(A400)에 의해 회동된파이프 소재(P)를 맨드릴(A300)로부터 탈거시키기 위한 것으로, 맨드릴회동유닛(A400)에 의해 하부틀(A100)의 반대측으로 회동된 맨드릴(A300)의 하측에제2구동모터(A610), 회동부재(A620), 결합핀(A630), 탈거부재(A640), 가이드부재(A650) 및 보조결합핀(A6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12] 제2구동모터(A610)는 좌,우 양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회동부재(A620)는 삼각형 또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구동모터(A610)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일측(중심측)은 결합핀(A630)에 의해 제2구동모터(A610)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탈거부재(A640)는 회동부재(A620)의 타측(원호측)에서 회동부재(A620)의 상측으로 회동된 맨드릴(A300)의 외면에 밀착가능한 위치에 결합된다.
[13] 또한, 가이드부재(A650)는 회동부재(A620)가 맨드릴(A300)과 동일한곡률반경을 따라 회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보조결합핀(A660)은 회동부재(A620)의 타측(원호측)에서 탈거부재(A640)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결합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14]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확인대상발명에 따른 곡관 제조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5]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틀(A100)에 대하여 상부틀(A200)이상승되고, 맨드릴(A300)은 하강하여 하부틀(A100)의 만곡로(B) 상에 배치되며, 하부틀(A100)의 투입로(A)에 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파이프소재(P)가 긴 가로변이 만곡로(B)의 긴 곡률반경으로, 작은 가로변이 만곡로(B)의 작은 곡률반경 방향으로 투입된다.
[16]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틀(A100)에 대하여 상부틀(A200)이 하강하여 면접을 통해 형합되면, 단면이 반원형상인 하부틀(A100)과 상부틀(A200)의 투입로(A) 및 만곡로(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소재가 진입할 수 있는 단면이 원형상인 갱도가 형성된다.
[17]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A500)가 작동하여 투입로(A)를 따라 전진하여 파이프 소재(P)를 맨드릴(A300)과 만곡로(B) 사이의 만곡환상간격(G)으로 밀어주게 되면, 파이프 소재(P)가 곡관으로 성형된다.
[18] 이때, 파이프 소재(P)는 제2연장부(A510)에 의해 긴 가로변이 만곡환상간격(G)으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고, 제1연장부(A310)에 의해 최초 접촉시작은 면적 및 접촉점으로 접촉하게 되어 마찰력에 기한 반발력을 감소할 수 있어 용이하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19] 그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관으로 성형된 파이프 소재(P)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부틀(A200) 및 맨드릴(A300)을 하부틀(A100)로부터상승시키고, 제1구동모터(A420)의 작동에 의해 가변부재(A410)를 회동시켜곡관이 삽입된 상태의 맨드릴(A300)이 하부틀(A1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20] 마지막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관으로 성형된 파이프소재(P)가 맨드릴(A300)에 삽입된 상태로 탈거유닛(A600)의 상측으로 회동되면, 제2구동모터(A610)의 작동에 의해 회동부재(A620)가 회전하게 되고, 회동부재(A620)에 설치된 탈거부재(A640)가 맨드릴(A30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동하면서 맨드릴(A300)에 삽입된 파이프 소재(P)를 탈거하게 된다.
[21] 이때, 회동부재(A620)의 회동반경 및 회동부재(A620)의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A650)의 가이드홈은 맨드릴(A300)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맨드릴(A300)이나 파이프 소재(P)의 손상 없이 용이하게 탈거하는 것이 가능하다.상기와 같이 파이프 소재(P)가 탈거된 맨드릴(A300)은 다시 하부틀(A100)측으로 회동하여 다음 작업을 위한 준비상태가 완료되면 하나의 곡관 제조가완료되는 것이며, 수개의 곡관 제조를 위해서는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 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