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지 1]
< 이 사건 특허발명의 도면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10: 프레임, 112: 1차절연체, 113: 1차고정접점, 114: 2차절연체, 115: 가동접점,
116: 2차터미널, 117: 금속관, 118: 3차절연체, 120: 4차절연체, 200: 파워퓨즈, 221, 222: 퓨즈홀더,
223: 퓨즈링크, 300: 피뢰기
[별지 2]
< 확인대상발명의 설명서 및 도면 >
1. 확인대상발명의 명칭
옥내 기중형 부하개폐기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2. 확인대상발명의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 및 도 1B 는 실시기술의 측면도
도 2A 및 도 2B 는 실시기술의 금속관과 2차터미널 부분의 확대도
도 3 은 는 실시기술의 평면도
3. 확인대상발명의 내용
확인대상발명은 옥내 기중형 부하개폐기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전반의 수전선로에는 옥내 기중형 부하개폐기의 고장구간을 단속하기 위하여 자동개폐기가 설치된다.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대상발명의 자동개폐기는, 프레임(110A), 1차~4차절연체(112A, 114A, 118A, 120A), 금속관(117B), 버스바(400A)및 파워퓨즈(200A)로 구성되어 있다.
1차∼4차절연체(112A, 114A, 118A, 120A)는 프레임(110A)상에 설치되어 있다. 1차절연체(112A)는 1차고정접점(113A)을 구비하고 있다. 2차절연체(114A)는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상단에 금속관(117B)이 설치되어 있다. 금속관(117B)의 선단부에는 가동접점(115A)이 마련되어 있고, 2차절연체(114A)가 좌우로 회동함에 따라 금속관(117B)이 좌우로 이동할 때 가동접점(115A)은 금속관(117B)과 함께 이동한다.
금속관(117B)의 후미에는 관 형상의 2차터미널부재(116A)가 결합되어 있다. 2차터미널부재(116A)의 후단부는 너트 형태의 결착구(116B)에 의해 버스바(400A)에 고정 결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2차터미널부재(116)의 후단부는 버스바(400A)에 상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2차터미널을 구성한다.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관(117B)은 2차터미널부재(116A)에 연결되어 있다. 즉, 금속관(117B)은 파이프 형태로 제작되고 2차터미널부재(116A)는 금속관(117B)보다 큰 직경의 파이프 형태로 제작되어, 금속관(117B)이 2차터미널부재(116A)의 내경면에 끼워짐으로써 상호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금속관(117B)이 도 1A 와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 및 도 1B 와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 모두에서, 금속관(117B)과 2차터미널부재(116A)는 상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금속관(117B)이 도 1A 및 도 2A 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금속관(117B) 선단부의 가동접점(115A)은 1차고정접점(113A)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단선되며, 금속관(117B)이 도 1B 및 도 2B 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금속관(117B) 선단부의 가동접점(115A)은 1차고정접점(113A)에 접촉된다.
버스바(400A)는 연결부재(400B)에 의해 금속관(117) 후방에서 3차절연체(118A)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버스바(400A)는 금속관(117)의 후방에서 피뢰기(300A)의 상단부와 결착 고정되어 있다.
파워퓨즈(200A)는 일측 퓨즈홀더(221A)를 통해 버스바(400A)에 연결되고 또한 타측 퓨즈홀더(222A)를 통해 4차절연체(120)상에 연결됨으로써, 퓨즈링크(223A)가 프레임(110A)으로부터 탈착되게 설치된다.
피뢰기(300A)는 3차절연체(118A)와 4차절연체(120A)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피뢰기(300A)는 상단부가 버스바(400A)에 결착되고 하단부가 프레임(110A)에 마련된 접지단(100B) 측에 접지선로(300B)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확인대상발명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도 1A 및 도 2A 는 단선(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B 및 도 2B 는 연결(단락)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1차고정접점(113A)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선이 연결되고 파워퓨즈(200A)측에는 옥내의 시설물이 연결됨으로써
외부 전원이 고장개폐기를 통해 시설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B 및 도 2B 와 같은 통상적인 연결 상태에서는, 외부 전원은 1차절연체(112A)상에 마련된 1차고정접점(113A)에 연결되고, 1차고정접점(113A)에는 금속관(117B)의 선단부에 마련된 가동접점(115A)이 연결되고, 가동접점(115A)은 금속관(117B)을 통해 2차터미널부재(116A)에 연결되고, 2차터미널부재(116A)의 후단부인 2차터미널은 결착구(116B)에 의해 버스바(400A)에 결착되어 있고, 버스바(400A)는 파워퓨즈(200A)에 연결되고, 파워퓨즈(200A)는 옥내의 시설물(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외부 전원은 1차고정접점(113A), 가동접점(115A), 금속관(117B), 2차터미널부재(116A), 버스바(400A), 파워퓨즈(200A)를 거쳐 시설물에 공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약 외부 전원의 순간적인 과전압 등이 발생하는 경우, 도1B 및 도 2B 와 같은 상태에서 도 1A 및 도 2A 와 같은 상태로 전환된다. 즉, 2차절연체(114A)가 좌측으로 후퇴하도록 회전됨으로써 금속관(117B)이 후퇴하고, 이에 따라 1차고정접점(113A)으로부터 가동접점(115A)이 이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개방(open)되어 외부 전원이 시설물로 공급되는 경로가 차단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피뢰기(300A)는 낙뢰 등의 발생으로 인한 순간적인 과전압유입시 피뢰기(300A)를 통해 접지단(100B)으로 과전압 전류가 대지로 누설되도록 함으로써 시설물을 보호한다.
이 때, 확인대상발명은 피뢰기(300A)를 3차절연체(118A)와 4차절연체(120A) 사이의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피뢰기(300A)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고, 따라서 피뢰기(300A)를 자동개폐기 후방에 설치하는 등과 같은 종래방식 적용시와 비교할 때 자동개폐기 전체 부피의 증가가 방지된다.
4. 확인대상발명의 도면
[별지 3]
< 비교대상발명들의 주요 내용 및 도면 >
1. 비교대상발명 1
지지애자(1)로서 지지된 고정쪽 아아킹 접촉자(3)를 갖춘 고정접촉자(2)에 대향하여 가동접촉자(4)를 마련하고, 이 가동접촉자(4)의 끝에 취부된 피스톤(5)을 한쪽만 개구한 절연성 실린더(6)안에 삽입하고, 이 절연성 실린더(6)의 일단개구에 가동접촉자(4)를 관통시키는 구멍을 갖는 도전단자(7)를 취부함과 함께 타단에 부하쪽 단자(12)를 취부하고 절연성 실린더(6)의 측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곁붙어서 그 끝을 도전단자(7)와 부하쪽 단자(12)에 접속한 퓨우즈(8)를 취부하고, 절연성 실린더(6)를 지지하는 지지애자(1)를 취부한 기판(9)에, 가동접촉자(4)에 그 일단을 추착한 조작애자(10)의 다른 끝을 추착하도록 한 직선절 퓨우즈부 부하개폐기(갑 제5호증 2면 청구항 1).
2. 비교대상발명 2
본 고안은 고정구간 자동개폐기를 구성함에 있어 특고압 퓨우즈를 자동개폐기와 일체화시켜 특고압 퓨우즈의 설치를 용이화하고 용단시에 교체가 용이한 점등의 효과를 거두도록 개선한 것이며 고안의 요지는 자동개폐기본체(1)및 가동접촉자(2)와 일체가 되도록 특고압 퓨우즈(3)를 설치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 관한 것이다(갑 제6호증 1면 ‘요약’부분).
본 고안은 자동개폐기 본체(1) 및 가동접촉자(2)와 특고압 퓨우즈(3)가 일체가 되도록 특고압 푸우즈(3)를 설치함으로써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배선선로에 과전류 사태가 발생하여 특고압 퓨우즈(3) 3상 중 1상이라도 용해 절단되면 자동개폐기(1)의 가동 접촉자(2)가 작동되어 자동개폐기(1)가 개방되도록 한 것이며 특고압 퓨우즈(3)의 설치가 용이하고 특고압 퓨우즈(3)의 퓨우즈가 용단되었을 때 새 특고압 퓨우즈와 교체가 용이한 장점 등의 실익을 얻게 되는 것이다(갑 제6호증 1면 마지막 단락).
3. 비교대상발명 3
독립적으로 구성된 피뢰기, 단로기 및 차단기를 인접배치하고,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구성한 전력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가설대(16)에 일단이 고착되고 타단으로 단로기의 고정접촉자(4)를 지지하는 피뢰기(2)와, 가설대(16)에 설치되어 선단부에 차단기의 차단부(10)가 장착된 공통지지애자(9)를 소정거리 이격되게 수직으로 배치하고, 수직으로된 구동애자(7)와 구동애자의 회전에 따라서 단로기의 고정접촉자(4)에 단로기 가동접촉자(5)를 투입 개폐시키는 구동기구(6)를 공통지지애자(9)와 단로기 고정접촉자(4)의 지지피뢰기(2)사이에 개재시키는 동시에 단로기의 구동기구(6)를 공통지지애자(9)의 선단부에 연결 지지시켜, 단로기의 고정접촉자(4)를 지지하는 피뢰기(2) 선단부와 단로기의 구동기구(6)와 공통지지애자(9)의 선단부를 수직방향으로 동일 위치가 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력용 개폐장치(갑 제7호증 3면 청구항 1).
4. 비교대상발명 4
<도면 설명>
특고압 주차단기(25), 주인입선(28), 뒤측고압부(30), 파워퓨즈(36),
퓨즈홀더(36a), 낙뢰방지용 피뢰기(37)
본 발명은 빌딩이나 공장 등과 같이 사용전력이 많은 곳에서 자가용 전기설비를 할 때 설치되는 수·배전반의 기능을 다양화 하고 시스템 설치공간을 최소화한 다기능 복합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갑 제6호증 3면 발명의 속하는 기술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부분).
본 발명은 수·배전반본체를 전면저압부와 중간특고압부와 뒤측특고압부로 구획하고 이들을 각각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구획하여 전면저압부에는 내측도어와 외측도어로 이중도어를 형성하며, 중간특고압부는 내부관측창과 개폐도어를 형성하며, 뒤측특고압부는 내부관측창을 형성한 인명 혼촉방지용 내측도어와 외측도어로 구성하여, 상기 전면저압부에는 저압배전주차단기, 비상절체스위치, 저압분기차단기, 지락감지용 영상변류기, 시공중계단자대, 각종계기(제어기, 디지털종합계기, 통전표시램프, 표시기) 등을 설치하며, 상기 중간특고압부에는 특고압주차단기와 변압기를 설치하며, 뒤측특고압부에는 주차단기와 연결된 파워퓨즈, 낙뢰방지용 피뢰기, 계량기를 일체로 구비한 한전계량변성기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최소한의 공간을 이용하여 취합한 다기능 복합 수·배전반을 구성함으로써, 빌딩이나 공장 등과 같이 사용전력이 많은 곳에서 자가용 전기설비를 할 때 설치되는 수·배전반의 기능을 다양화 하고 시스템 설치공간을 최소화 하는 등, 변전실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 하여 자가용 전기설비를 설치하는 수용가의 최대 문제점인 설치공간 확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설치 및 고장 수리가 용이하며, 안전관리자가 편리하게 감시 및 제어를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전한 시스템운용은 물론, 공급원가를 줄이고 특히 협소한 장소에 시설하여 건축비의 절감과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저압모선측을 N, R, S, T, N방식으로 설치하여 분기 간섭이 없으며 저압부와 특고압부 사이에 비자성체 격벽을 설치하여 자장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진동이나 소음이 저감하며 오동작이 없는 것이다(갑 제8호증 6면 ‘발명의 효과’ 부분).
5. 비교대상발명 5
특별고압 수전설비에서 기계기구 등의 배열은 그림 7-1에서 7-4까지 표시하는 특별고압 수전설비 참고 결선도에 따라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갑 제13호증 53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