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사건번호 2014허3712 권리범위확인(특)
판례제목 2014허3712 권리범위확인(특)
출원번호 제771429호
분야 특허/실용신안
판결일 2015-04-24
법원명 특허법원
원고 주식회사 쉴드텍
피고 대한실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판사 .
판결결과 권리범위확인(특)
주문 1. 특허심판원이 2014. 5. 2. 2013당1041 사건에 관하여 한 심결 중 특허번호 제771429호 특허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부분을 취소한다.
2. 원고의 나머지 청구를 기각한다.
3. 소송비용 중 70%는 원고가, 나머지는 피고가 각 부담한다.
청구취지 특허심판원이 2014. 5. 2. 2013당1041 사건에 관하여 한 심결을 취소한다.
기초사실 1. 기초 사실
가. 이 사건 특허발명
1) 발명의 명칭 : 엠알아이 실드용 반자동 차폐도어

2) 출원일/ 등록일/ 특허번호 : 2007. 8. 8./ 2007. 10. 24./ 제771429호

3) 특허권자 : 피고

4) 청구범위
【청구항 1】사각 선단을 연결하는 골조로써 실드룸의 출입구에 장착되되 상기 선단을 잇는 하단부에 형성되는 도어레일(1109))(이하 ‘구성 1-1’)과, 사각 선단의 두께 방향 일측단에 형성되는 도어수납홈(120)(이하 ‘구성 1-2’)과, 상기도어수납홈(120)의 일측에 도어로커(130)(이하 ‘구성 1-3’) 및 근접센서(140)(이하 ‘구성 1-4’)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도어프레임(100)(이하 ‘구성 1’)과; 상기도어프레임의 도어수납홈(120)으로 도어본체가 인출되며 여닫이되도록 형성되는 힌지(210)(이하 ‘구성 2-1’)와, 상기 힌지에 의해 여닫이되는 도어본체의 개폐를 단속하도록 형성되는 키세트(220)(이하 ‘구성 2-2’)와, 상기 도어본체의외주면 중 저면 바닥부(230)가 개구되되(이하 ‘구성 2-3’) 상기 저면 바닥부(230)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에 형성되는 차폐용핑거플레이트(240)(이하 ‘구성2-4’)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차폐도어(200)(이하 ‘구성 2’)와; 상기 차폐도어의저면 바닥부(230)와 도어프레임의 도어레일(110)의 틈새를 밀착시켜 차폐도어(200)의 내, 외부 차폐를 조장하도록 근접센서(140)와의 체크 유무를 확인하는신호체크부(310)(이하 ‘구성 3-1’)와, 상기 신호체크부(310)의 감지 여부에 따라연동하며 차폐도어의 저면 바닥부(230)와 도어레일(110)의 틈새를 밀착시키도록차폐도어의 개구된 바닥부(230)에 수납되는 차폐구동부(320)(이하 ‘구성 3-2’)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반자동차폐부(300)(이하 ‘구성 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알아이 실드용 반자동 차폐도어

【청구항 2】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자동차폐부(300)는 차폐도어(200)가 도어프레임(100)에 대해 닫힌 상태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하며 근접센서(140)와 대응시 차폐구동부(320)를 동작시키도록 형성되는 체크용핸들(311)와, 상기 체크용핸들(311) 및 차폐구동부(320)의 전원을 단속하며 이송실린더(321)와의 연동을 조장하도록 제어부(312)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신호체크부(310)와; 상기 신호체크부의 제어부(312)에 의해 체크용핸들(311)의 열림/닫힘확인시 유기적으로 상, 하 연동되는 이송실린더(321)와, 상기 이송실린더(321)의 외측단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322)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22)의 하단에결합되는 탄성부재(323)와, 상기 탄성부재(323)의 저면에 위치되되 일측단이차폐도어(200)의 바닥부(230)측 벽면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자유상태로 연장되어 이송실린더(321)의 상, 하 이송에 따라 도어레일(110)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차폐용핑거(324)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차폐구동부(32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알아이 실드용 반자동 차폐도어
5) ‘발명의 설명’의 주요 내용 및 주요 도면 : [별지 1]

나. 확인대상발명
피고에 의하여 원고가 실시하고 있다고 특정된 ‘차폐문’에 관한 것으로서, 그 주요 내용 및 도면은 [별지 2]와 같다.

다. 실시주장발명
원고가 스스로 실시하고 있는 제품이라고 주장하는 ‘차폐문’으로서, 그 주요도면은 [별지 3]과 같다.

라. 이 사건 심결의 경위
1) 피고는 2013. 4. 22. 특허심판원에 원고를 상대로, ‘확인대상발명은 이 사건 특허발명의 청구항 1, 2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주장하면서 적극적 권리 범위확인심판을 청구하였다.

2) 특허심판원은 위 심판청구를 2013당1041 사건으로 심리하여, 2014. 5.2. ‘원고가 확인대상발명을 실시하고 있고, 확인대상발명은 이 사건 특허발명의 청구항 1, 2의 보호범위에 속한다’는 이유로 피고의 심판청구를 인용하는 이 사건 심결을 하였다.
【인정 근거】갑1~7, 13~15호증(각 가지번호 포함), 변론 전체의 취지
원고의 주장요지 2. 당사자의 주장 요지
가. 원 고
1) 원고는 확인대상발명의 구성 중 문수납홈(12), 문로킹부(13), 키세트(22), 핑거플레이트(24), 문센서(25), 신호체크밸브(31), 구동부(32)에 관한 구성을 실시하지 않고 있다.

2) 또한, 확인대상발명은 청구항 1의 구성 중 구성 1-2(도어수납홈), 구성1-3(도어로커), 구성 1-4(근접센서), 구성 2-2(키세트), 구성 2-4(차폐용핑거플레이트), 구성 3-1(신호체크부), 구성 3-2(차폐구동부)와 동일 또는 균등한구성을 포함하지 아니하므로, 청구항 1의 보호범위에 속하지 않는다.

3) 나아가 확인대상발명은 청구항 2의 구성 중 체크용핸들(311), 지지플레이트(322), 탄성부재(323), 차폐용핑거(324) 등과 동일 또는 균등한 구성을 포함하지 아니하므로, 청구항 2의 보호범위에도 속하지 않는다.

4) 따라서 이와 달리 확인대상발명이 원고에 의하여 실시되고 있으며, 청구항 1, 2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판단한 이 사건 심결은 위법하다.
당사자의 주장 요지 나. 피 고
1) 원고는 확인대상발명을 실시하고 있다.

2) 또한, 확인대상발명은 청구항 1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되, 센서가 설치된 위치만 차이가 날 뿐인데(청구항 1의 근접센서는 도어프레임에 설치되고, 확인 대상발명의 문센서는 차폐문에 설치된다), 그러한 차이는 단순 치환이 가능하여 양 발명은 균등 범위 내에 있으므로, 확인대상발명은 청구항 1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3) 한편, 확인대상발명이 청구항 2의 보호범위에 속하지 않는다는 점은 인정한다.

4) 따라서 이 사건 심결 중 확인대상발명이 원고에 의하여 실시되고 있으며, 적어도 청구항 1의 보호범위에는 속한다고 판단한 부분만큼은 적법하다.
이 사건 심결의 당부에 대한 판단 3. 원고가 확인대상발명을 실시하고 있는지 여부
가. 판단의 방법
피고는, 원고가 확인대상발명을 실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하여을1호증의 1~20 각 사진을 제출하였는데, 그 중 을1호증의 5~20 각 사진이 원고가 실제 제조하여 서울대학교 병원에 납품, 설치한 차폐문(이하 ‘원고 실시 제품’)을 촬영한 사진으로 보인다.10) 따라서 아래에서는 피고가 특정한 확인대상발명의 구성과 을1호증의 5~20 각 사진에 의하여 파악되는 원고 실시 제품의그것을 대비하는 방법에 의하여 원고가 확인대상발명을 실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따져본다.

나. 구성요소의 대응관계
확인대상발명의 구성11)과 을1호증의 5~20 각 사진에 의하여 파악되는 원고 실시 제품의 구성을 대비해 보면, 아래 표와 같다.12)

1) 구성 1-1, 2-1, 2-3
위에서 본 바와 같이 확인대상발명의 구성 1-1, 2-1, 2-3은 각각 ①‘사각 선단을 연결하는 골조로써 실드룸의 출입구에 장착되되 상기 선단을 잇는하단부에 형성되는 문레일(11)’, ② ‘문프레임(10)의 문수납홈(12)으로 문 본체가인출되며 여닫이되도록 형성되는 힌지(21)’, ③ ‘문 본체의 외주면 중 저면 바닥부(23)가 개구되는 것’이다. 그런데 원고 실시 제품에도 ① 문프레임 하단부의문레일(을1호증의 18), ② 문 본체가 문프레임의 문수납홈에 여닫이 되도록 되어 있는 힌지(을1호증의 8), ③ 문 본체의 저면에 개구된 바닥부(을1호증의 15)와 같이 각각 대응되고 동일한 구성들이 존재한다(이들 부분 원고가 확인대상발명을 실시하고 있다는 점에 관하여는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다).

2) 구성 1-2
확인대상발명의 구성 1-2는 ‘사각 선단의 두께 방향 일측단에 형성되는문수납홈(12)’인데, 원고 실시 제품에도 위 문수납홈과 같이 문프레임에 문이 걸릴 수 있도록 파진 홈이 존재한다(을1호증의 8, 12).이에 대하여 원고는, 자신의 실시 제품은 ‘ ’과 같이차폐도어(250)의 날개면(282)이 문틀(250)에 밀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확인대상발명의 문수납홈에 대응하는 구성이 없다는 취지로 주장한다. 그러나 원고가위 인정과 달리 위 도면과 같은 형태로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고 볼 만한 증거가전혀 없으므로, 위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3) 구성 1-3
확인대상발명의 구성 1-3은 ‘문수납홈(12)의 일측에 형성된 문로킹부(13)’로서, 문로킹부(13)는 키세트(22)와 대응되고 키세트(22)의 단부가 내입되도록 형성되어 차폐문(20)이 문프레임(10)에 대해 완전 잠금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갑1호증의 1의 22면 아래에서 5~8행, 23면 아래에서 1~4행, 28면의 [도 4a], 31면의 [도 6a], 34면의 [도 9]). 그런데 원고 실시제품에도 문수납홈의 일측에 키세트가 걸릴 수 있도록 파진 곡선의 홈이 존재하고(을1호증의 12), 위 홈은 키세트에 대응되어 키세트의 단부가 내입되어 차폐문이 문프레임에 완전 잠금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어서, 확인대상발명의 문로킹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원고는, 자신의 실시 제품은 문틀(250)의 내주면에 형성된 2개의상하부 밀착가이드홈(380, 390)을 구비한 것으로서 확인대상발명의 문로킹부에대응하는 구성이 없다는 취지로 주장한다. 그러나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원고의 실시주장발명은 2개의 상하부 밀착가이드홈(380, 390)에 2개의 수직이동롤러봉(100, 100‘)이 각각 삽입되어 차폐도어(280)가 문틀(250)에 밀착 차폐되는 구조이고, 확인대상발명 역시 문로킹부(13)에 키세트(22)의 단부가 내입되어 상승됨으로써 차폐문(20)이 문프레임(10)에 밀착 차폐되는 구조이므로(갑1호증의 1의 23면 아래에서 4행부터 24면 위에서 3행까지, 34면의 [도 9]), 위 문로킹부는 사실상 실시주장발명의 밀착가이드홈과 같은 구성으로 보아야 하므로, 위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는다.

4) 구성 2-2
확인대상발명의 구성 2-2는 ‘힌지(21)에 의해 여닫이되는 문 본체의 개폐를 단속하도록 형성되는 키세트(22)’로서, 키세트(22)는 문로킹부(13)와 대응되어 키세트(22)의 단부가 문로킹부(13)에 내입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차폐문(20)이 문프레임(10)에 대해 완전 잠금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갑1호증의 1의 22면 아래에서 5~8행, 23면 아래에서 1~4행, 28면의 [도 4a],31면의 [도 6a], 34면의 [도 9]). 그런데 원고 실시 제품에도 차폐문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형태의 2개의 돌출부가 있고(을1호증의 8),위 돌출부는 문로킹부와 대응되어 키세트의 단부가 문로킹부에 내입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차폐문이 문프레임에 대해 완전 잠금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어서, 위 돌출부를 확인대상발명의 키세트와 동일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이에 대하여 원고는, 자신의 실시 제품은 차폐도어(280)의 내부에 설치된 상하 슬라이드형 내부수직이동바(23)의 상하부에 부착된 2개의 수직이동롤러봉(100, 100‘)을 구비한 것으로서 확인대상발명의 키세트에 대응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취지로 주장한다. 그러나 위 3)항의 구성 1-3 부분 표에서 보는바와 같이 원고의 실시주장발명은 2개의 수직이동롤러봉(100, 100‘)이 2개의 상하부 밀착가이드홈(380, 390)에 각각 삽입되어 차폐도어(280)가 문틀(250)에밀착 차폐되고, 확인대상발명 역시 키세트(22)의 단부가 문로킹부(13)에 내입되어 상승됨으로써 차폐문(20)이 문프레임(10)에 밀착 차폐되는 것이어서(갑1호증의 1의 23면 아래에서 4행부터 24면 위에서 3행까지, 34면 [도 9]), 양자가 사실상 동일한 구성으로 보이는 이상, 위 주장 또한 이유 없다.

5) 구성 2-4
확인대상발명의 구성 2-4는 ‘저면 바닥부(23)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에 형성되는 핑거플레이트(24)’로서, 위 핑거플레이트(24)는 판 형상으로 차폐문(20)의 측방 및 상방 테두리에 형성되며, 차폐문(20)이 문프레임(10)에 내입되어 닫히면, 핑거플레이트(24)가 문프레임(10)에 형성된 삽입홈(14) 내의 탄성접촉부(15) 사이로 끼워짐으로써 차폐를 완성한다(갑1호증의 1의 22면 아래에서2행부터 23면 위에서 17행까지, 30면의 [도 5a], [도 5b], 31면의 [도 5c]). 그런데 원고 실시 제품에도 차폐문의 측방 테두리에 형성되어 차폐문이 문프레임에 내입되어 닫힐 경우 문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홈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판 형상의 구조물이 존재하고(을1호증의 13), 위 구조물은 확인대상발명의 핑거플레이트와 같은 구성으로 보인다.
이에 대하여 원고는, 자신의 실시 제품은 차폐도어(280)의 측방 및 상방 테두리에 설치된 나이프 에지(24)가 문틀(250)에 부착된 스프링 형태의 핑거스톡 가스켓(15, 15‘) 사이로 삽입되어 차폐도어(280)가 문틀(250)에 밀착 차폐되는 구조이므로, 확인대상발명의 핑거플레이트에 대응하는 구성이 없다는 취지로 주장한다. 그러나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고의 실시주장발명은 차폐도어(280)의 측방 및 상방 테두리에 설치된 판 형상의 나이프 에지(24)가 문틀(250)에 부착된 스프링 형태의 핑거스톡 가스켓(15, 15‘) 사이로 삽입되어 차폐도어(280)가 문틀(250)에 밀착 차폐되는데, 확인대상발명 또한, 차폐문(20)의 측방및 상방 테두리에 형성된 판 형상의 핑거플레이트(24)가 문프레임(10)에 형성된삽입홈(14) 내의 탄성접촉부(15) 사이로 끼워짐으로써 차폐문(20)이 문프레임(10)에 밀착 차폐되도록 되어 있다(갑1호증의 1의 중 23면 위에서 13~17행, 30면의 [도 5a]). 따라서 실시주장발명의 나이프 에지와 확인대상발명의 핑거플레이트는 사실상 같은 구성이라고 보아야 하므로, 위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6) 구성 2-5
확인대상발명의 구성 2-5는 ‘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문센서(25)’로서, 문센서(25)는 문 상단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문프레임(10)에 형성된내입 형상의 체크부(16)와의 상호 동작에 의해 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갑1호증의 1의 23면 위에서 13~17행, 30면의 [도 5a]). 그런데 원고 실시 제품에도 문 상단의 측방으로 돌출한 센서가 존재하고(을1호증의 9), 위 센서는차폐문에 설치되어 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것이어서 확인대상발명의 문센서와동일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원고는, 자신의 실시 제품은 차폐도어(280)의 측면 상부에 수직이동바 작동용 에어열림밸브(25)를 구비하고 있을 뿐, 확인대상발명의 문센서에대응하는 구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실시주장발명의 에어열림밸브(25)는갑5호증의 13의 ‘ ’과 같이 스프링, 롤러, 누름스위치 등으로이루어져 차폐도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그 구조상 차폐도어와 문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작동하게 되므로 차폐도어의 개폐를 감지한다고 볼 수 있고, 확인대상발명의 문센서(25) 역시 차폐문에 설치되어 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주장발명의 에어열림밸브와 확인대상발명의 문센서는사실상 동일한 구성이라고 하겠으므로, 위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는다.


7) 구성 3-1
확인대상발명의 구성 3-1은 ‘차폐문(20)의 저면 바닥부(23)와 문프레임(10)의 문레일(11)의 틈새를 밀착시켜 차폐문(20)의 내, 외부차폐를 조장하도록문센서(25)의 체크 유무를 확인하는 신호체크밸브(31)’로서, 신호체크밸브(31)는문센서(25)와 연결되어 문센서(25)의 신호에 따라 컴프레셔(33)에서 공급되는공기압을 제어하여 구동부(32)를 구동시킴으로써 차폐문(20)의 저면 바닥부(23)와 문프레임(10)의 문레일(11)의 틈새를 밀착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갑1호증의 1의 24면 7~29행, 37면의 [도 11], [도 12], [도 13]). 한편, 원고의 실시주장발명에는 수직이동바 작동용 에어솔밸브(31)가 구비되어 있는데(갑5호증의 5),위 에어솔밸브는 수직이동바 작동용 에어열림밸브(25)와 연결되어 위 에어열림밸브의 작동 여부에 따라 컴프레셔(33)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을 제어하여 종국적으로 하부커튼 작동용 고압실린더(300) 및 하부커튼(32)을 구동시키는 기능을하는 것이므로, 확인대상발명의 신호체크밸브에 대응하고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원고는, 실시주장발명의 수직이동바 작동용 에어솔밸브(31)는 수직이동바 작동용 고압실린더(22)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지 하부커튼(확인대상발명의 ‘구동부’에 대응된다)을 구동시키는 것은 아니므로, 실시주장발명의 수직이동바 작동용 에어솔밸브와 확인대상발명의 신호체크밸브는 서로 같은 구성이라고 볼 수 없다는 취지로 주장한다.
그러나 위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주장발명은 차폐도어가 닫힐 경우 수직
이동바 작동용 에어열림밸브(25)와 수직이동바 작동용 에어솔밸브(31)가 작동하
여 수직이동바 작동용 고압 실린더(22)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수직이동바(23)
를 상승시키고, 연속적으로 하부커튼 작동용 에어열림밸브(25-1)와 하부커튼
작동용 에어솔밸브(31-1)가 작동하여 하부커튼 작동용 고압 실린더(300)에 압
축공기를 공급하여 하부커튼(32)을 하강시키는 구조이어서, 수직이동바 작동용 에어솔밸브(31)가 하부커튼(32)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이를 구동시키는 구성이
라고 볼 수 있는데, 확인대상발명의 신호체크밸브가 구동부와 반드시 직접적으
로 연결된 것만을 의미한다고 볼 만한 어떠한 근거도 없어 그와 같은 경우로 한
정할 수 없는 이상, 위 주장 역시 이유 없다.

8) 구성 3-2
확인대상발명의 구성 3-2는 ‘신호체크밸브(31)에 따라 연동하며 차폐문(20)의 저면 바닥부(23)와 문레일(11)의 틈새를 밀착시키도록 차폐문(20)의 개구된 바닥부(23)에 수납되는 구동부(32)’인데, 원고 실시 제품에도 마찬가지로차폐문의 저면 바닥부와 문레일의 틈새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차폐문의 개구된바닥부에 구동부가 형성되어 있다(을1호증의 13).이에 대하여 원고는, 실시주장발명의 하부커튼 작동용 고압실린더(300) 및 하부커튼(32)은 수직이동바 작동용 에어솔밸브(31)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구동부(32)가 신호체크밸브(31)에 연결되어 있는 확인대상발명의 대응구성과 다르다는 취지로 주장한다. 그러나 위에서 살핀 본 바와 같이 수직이동바 작동용 에어솔밸브(31)는 하부커튼(32)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이를 구동시키는 구성이라고 볼 수 있고, 확인대상발명의 구동부는 신호체크밸브(31)에 따라 연동한다고만 되어 있을 뿐, 신호체크밸브와 반드시 직접 연결된 것만으로 한정된다고 볼수 있는 근거도 없으므로, 위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라. 원고의 추가 주장에 대한 판단
나아가 원고는, 실시주장발명에는 상하 슬라이드형 내부수직이동바(23), 그하부에 부착된 상하 슬라이드형 내부수직이동바 작동용 고압실린더(22),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용 외부 컴프레셔(33), 컴프레셔(33)에 연결된 압축공기 공급용 고압에어호스(25-1) 등이 있지만, 확인대상발명에는 위와 같은구성들이 빠져 있으므로, 원고는 확인대상발명을 실시하고 있지 않다는 취지로주장한다.
그러나 실시주장발명의 구성 중 확인대상발명에 없는 위와 같은 구성은 원고가 확인대상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필요에 따라 부가한 구성에 불과한 것이고,위와 같이 추가된 구성이 피고가 특정한 확인대상발명에 빠져 있다고 하더라도 원고가 확인대상발명을 실시하고 있는 사실 자체가 달라지지 않는 이상, 위 주장 또한 받아들일 수 없다.

마. 소결론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원고는 확인대상발명의 구성이 모두 포함된 원고 실시 제품을 제조하여 서울대학교 병원에 납품, 설치함으로써 확인대상발명을 실시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4. 확인대상발명이 이 사건 특허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지 여부

가. 청구항 1 부분에 관한 판단
1) 구성요소의 대응관계
청구항 1과 확인대상발명은 모두 엠알아이(MRI) 실드용 차폐도어(차폐문)에 관한 것으로서, 이들을 구성요소별로 대비하여 보면, 아래 표와 같다.13)

2) 대응되는 구성의 공통점 및 차이점
가) 도어프레임(구성 1) 부분
⑴ 구성 1-1~3
구성 1-1~3과 확인대상발명은 각 대응부분은 모두 도어프레임(문프레임)의 일부로서, 각각 사각 선단을 연결하는 골조로써 실드룸의 출입구에 장착되고, 위 선단을 잇는 하단부에 형성되는 도어레일(문레일), 사각 선단의 두께 방향 일측단에 형성되는 도어수납홈(문수납홈), 도어수납홈(문수납홈)의 일측에 구비된 도어로커(문로킹부)라는 점에서 완전히 동일하다.

⑵ 구성 1-4
구성 1-4의 근접센서와 확인대상발명의 문센서는 모두 센서에 해당한다. 다만, 구성 1-4의 근접센서는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근접센서”라는 용어의 일반적인 사용례나 이 사건 특허발명의 명세서에 근접센서에 대하여 체크핸들부시(311-1)가 소정의 감지 거리 내에 오는 것을 감지하는 기능을한다는 취지로 기재되어 있는 점(갑1호증의 3 식별번호 <22>, <31>) 등에 비추어 볼 때 ‘비접촉식 센서’임이 분명하다. 그런데 확인대상발명의 문센서는 이와달리 차폐문에 설치되고, 문프레임에 형성된 내입 형상의 체크부(16)와의 접촉을 통해 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것이므로(갑1호증의 1 23면 20~28행), 접촉식센서로 보인다.따라서 구성 1-4의 근접센서와 확인대상발명의 문센서는 위와 같이 센서의설치 위치 및 감지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나) 차폐도어(구성 2) 부분
구성 2-1~4와 확인대상발명의 각 그 대응부분은 모두 차폐도어(차폐문)의 일부로서, 각각 도어프레임(문프레임)의 도어수납홈(문수납홈)으로 도어본체(문 본체)가 인출되며 여닫이되도록 형성되는 힌지, 힌지에 의해 여닫이되는 도어본체(문 본체)의 개폐를 단속하도록 형성되는 키세트, 도어본체(문 본체)의 외주면 중 저면 바닥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는 점, 차폐도어(차폐문)의 저면 바닥부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에 형성되는 차폐용 핑거플레이트(핑거플레이트)라는 점에서 완전히 동일하다.

다) 반자동차폐부(구성 3) 부분
구성 3-1, 2와 확인대상발명의 각 그 대응부분은 모두 반자동차폐부의 일부로서, 각각 차폐도어(차폐문)의 저면 바닥부와 도어프레임(문프레임)의 도어레일(문레일)의 틈새를 밀착시켜 차폐도어(차폐문)의 내, 외부 차폐를 조장하도록 근접센서(문센서)와의 체크 유무를 확인하는 신호체크부(신호체크밸브)라는 점과 신호체크부(신호체크밸브)의 감지 여부에 따라 연동하며 차폐도어(차폐문)의 저면 바닥부와 도어레일(문레일)의 틈새를 밀착시키도록 차폐도어(차폐문)의 개구된 바닥부에 수납되는 차폐구동부(구동부)라는 점에서 완전히 동일하다.

라) 대비 결과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구성 1-4를 제외한 나머지 청구항 1의 각구성은 확인대상발명의 각 대응구성과 동일하고, 다만 구성 1-4의 근접센서는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비접촉식 센서인 데 반하여, 확인대상발명의 문센서는차폐문에 설치되는 접촉식 센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3) 차이점에 대한 평가
가) 관련 법리
특허발명과 대비되는 확인대상발명이 특허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할 수 있으려면 특허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각 구성요소와 그 구성요소 간의유기적 결합관계가 확인대상발명에 그대로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확인대상발명에서 특허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 중 일부 변경된 부분이 있는 경우에도, 양 발명에서 과제의 해결원리가 동일하고, 그러한 변경에 의하더라도특허발명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며, 그와 같이 변경하는것이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생각해 낼 수 있는 정도라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확인대상발명은 특허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과 균등한 것으로서 여전히 특허발명의 보호범위에속한다고 보아야 한다. 여기서 ‘양 발명에서 과제의 해결원리가 동일’한지 여부를 가릴 때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의 일부를 형식적으로 추출할 것이 아니라, 명세서의 발명의 설명 등을 참작하여 선행기술과 대비하여 볼 때 특허발명에 특유한 해결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기술사상의 핵심이 무엇인가를 실질적으로 탐구하여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14. 7. 24. 선고 2012후1132 판결 등 참조).

나) 구체적인 검토
⑴ 과제해결원리의 동일 여부
먼저, 이 사건 특허발명의 명세서(갑1호증의 3)에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이 사건 특허발명의 명세서 기재에 의하면, 예전에는 엘알아이 실드룸의 완전차폐를 위해 차폐용도어와 맞닿는 하단부에 별도의 출입 단턱이 형성되어 있었는데, 청구항 1은 그러한 단턱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면과 동일선상으로 도어레일을 형성하고, 도어레일과 차폐도어의 저면 바닥부가 반자동 차폐부에 의해 완전 차폐를 이루게 함으로써 각종 출입 이송수단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며, 구체적인 차폐 방식으로 차폐구동부가 근접센서와의 체크 유무를 확인하는신호체크부와 연동하여 도어레일과 차폐도어의 저면 바닥부의 틈새를 밀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위 명세서에는 그 선행기술로 ‘실드룸(전자 차폐실)의 출입구에 단턱(슬로프)을 없애고, 개폐 핸들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차폐부(전자파 차폐부재)를 하강시킴으로써 완전 차폐를 이루게 하는 것’을 들고 있으며, 또 이 사건 특허발명의 출원 당시 다른 선행기술에도 ‘핸들(15)을 수동으로 돌리면 기어 방식의 구동축(11, 12)이 작동하여 실드패킹(28)을 하강시킴으로써 문(20)을 문틀(30)에 밀착시키는 것’이 개시되기도 하다(갑9호증의 1의 식별번호 [0006], [0032]~[0035],도 1).이러한 명세서의 기재와 출원 당시 공지기술 등을 종합하면, 청구항 1에 특유한 해결수단이 터 잡은 기술사상의 핵심은 센서에 의해 차폐부의 동작이 시작되어 도어레일과 차폐도어의 저면 바닥부의 틈새가 밀착되도록 하는 데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런데 확인대상발명도 문이 닫힌 것을 문센서가 감지하여 차폐부를 구동시킴으로써 문레일과 차폐문의 저면 바닥부의 틈새가 밀착되도록하고 있다. 따라서 확인대상발명은 앞서 본 센서 위치 및 센서 방식의 차이에도불구하고, 해결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기술사상의 핵심이 청구항 1과 차이가 없으므로, 양 발명은 과제의 해결원리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⑵ 작용효과의 동일 여부
앞서 본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근접센서는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비접촉식 센서임에 비하여 확인대상발명의 문센서는 차폐문에 설치되는 접촉식 센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확인대상발명은 위와 같은 센서 위치나 센서 방식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이용자가 수동 조작을 통하여 차폐부를 하강시킬 필요없이 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 차폐부가 자동으로 하강하여 문레일과 차폐문의저면 바닥부의 틈새를 밀착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청구항 1에서와 실질적으로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⑶ 변경이 용이한지 여부
문의 개폐와 관련된 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를 문에 설치할지 아니면 문틀에 설치할지 여부는 통상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고, 비접촉식 센서를 접촉식 센서로 변경하는 것 역시 해당 기술분야에서관용적으로 채택되는 기술수단에 불과하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확인대상발명과 같이 청구항 1의 센서 설치 위치와 감지 방식을 변경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나 쉽게 착안해 낼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하다.

4) 원고의 주장에 대한 판단
가) 먼저 원고는, 청구항 1의 근접센서(140)는 체크용핸들(311)의 회동을감지하여 신호체크부(31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차폐구동부(320)를하강시키는 것이고, 확인대상발명의 문센서(25)는 신호체크밸브(31)에 연결된수직이동바를 상승하게 하여 구동부(32)가 아닌 차폐문(20)을 닫는 것이므로,청구항 1의 근접센서와 확인대상발명의 문센서는 그 구조 및 작용효과가 전혀다르다는 취지로 주장한다.그러나 위 주장은 아래와 같은 이유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

⑴ 청구항 2에는 ‘차폐도어(200)가 도어프레임(100)에 대해 닫힌 상태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하며 근접센서(140)와 대응시 차폐구동부(320)를 동작시키도록 형성되는 체크용핸들(311)’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청구항 1에는 체크용핸들(311)에 관한 기재가 전혀 없으므로, 체크용핸들(311)은청구항 1의 종속항인 청구항 2에 한정된 구성이라고 보아야 하고, 달리 청구항1의 근접센서(140)가 체크용핸들(311)의 회동을 감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라고한정하여 해석할 근거는 없다.
⑵ 확인대상발명의 설명서의 다음과 같은 기재에 비추어 보면, 확인대상발명의 문센서(25)는 원고의 주장과 달리 차폐문(20)의 닫힘을 감지하여 키세트(22)의 단부가 문로킹부(13)의 홈에 내입되어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차폐문(20)을 문프레임(10)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뿐만 아니라, 차폐문(20)이 완전히 닫혔음을 감지하여 신호체크밸브(31)가 구동부(32)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차폐문(20)의 저면 바닥부(23)와 문레일(11)의 틈새를 밀착시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⑶ 확인대상발명의 문센서(25)는 신호체크밸브(31)와 연동하여 구동부(32)를 작동시킨다는 점에서는 청구항 1의 근접센서(140)와 작용효과에서 차이가 없고, 앞서 본 차폐문(20)을 문프레임(10)에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것과 관련된 작용효과는 청구항 1의 기술적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여기에 새로운 기술적요소를 부가한 데 따른 것에 불과하므로, 확인대상발명이 청구항 1의 보호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아무런 영향을 줄 수 없는 것이다.

나) 다음 원고는, 청구항 1의 신호체크부(310)는 차폐구동부(320)와 연결되어 이를 작동시키는 것이고, 확인대상발명의 신호체크밸브(31)는 구동부(32)가아닌 차폐문(20)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구동부(32)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양 대응구성은 그 구조 및 작용효과가 전혀 상이하다는 취지로 주장한다.그러나 확인대상발명의 설명서에 신호체크밸브(31)는 구동부(32)와 연결되어 있고, 문센서(25)의 신호에 따라 구동부(32)를 작동시켜 차폐문(20)의 저면 바닥부(23)와 문레일(11)의 틈새를 밀착시킨다고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는 이상(갑1호증의 1 24면 3~27행), 위 주장 역시 받아들이지 않는다.다) 나아가 원고는, 청구항 1의 반자동차폐부(300)는 차폐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체크용핸들(311)을 회동시키는 것과 같은 수동적인 요소에 의해 동작이 시작되는 데 반하여,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부(30)는 문센서(25)가 차폐문(20)의 닫힘을 감지할 경우 수동적인 요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동작하는 것이므로, 양 대응구성은 그 구조 및 작용효과가 다르다고 주장한다.그러나 위 주장도 아래와 같은 이유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

⑴ 청구항 2에는 ‘차폐도어(200)가 도어프레임(100)에 대해 닫힌 상태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하며 근접센서(140)와 대응시 차폐구동부(320)를 동작시키도록 형성되는 체크용핸들(311)’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반면, 청구항1에는 체크용핸들(311)에 관한 기재가 전혀 없어 체크용핸들(311)은 청구항 1의종속항인 청구항 2에 한정된 구성이라고 봄이 상당하고, 달리 청구항 1의 반자동차폐부(300)가 차폐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체크용핸들(311)을 회동시킴으로써 동작이 개시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할 근거는 없다.

⑵ 청구항 1에는 반자동차폐부(300)가 ‘차폐도어의 저면 바닥부(230)와도어프레임의 도어레일(110)의 틈새를 밀착시켜 차폐도어(200)의 내, 외부 차폐를 조장하도록 근접센서(140)와의 체크 유무를 확인하는 신호체크부(310)와, 상기 신호체크부(310)의 감지 여부에 따라 연동하며 차폐도어의 저면 바닥부(230)와 도어레일(110)의 틈새를 밀착시키도록 차폐도어의 개구된 바닥부(230)에 수납되는 차폐구동부(3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만 기재되어 있을 뿐,반자동차폐부(300)의 ‘반자동’의 의미와 관련하여 이 사건 특허발명의 명세서에는 별다른 정의나 설명이 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반자동』의 사전적 의미가 “기계 장치에서 절반 또는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인 점을 고려할 때, 청구항 1의 반자동차폐부는 차폐부의 동작과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자동적인 요소가 개재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청구항 1의 반자동차폐부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체크용핸들을 회동시키는 것과 같은 수동의 잠금 동작에 뒤이어 자동으로 차폐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수동으로 문을 닫는 동작에 이어서 자동으로 차폐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있다.
또한, 비록 이 사건 특허발명의 청구항 2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체크용핸들을 회동시키는 것과 같은 수동의 잠금 동작에 뒤이어 자동으로 차폐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관한 내용만이 기재되어 있으나, 독립항과 이를 한정하는 종속항 등 여러 항으로 이루어진 청구항의 기술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광범위하게 규정된 독립항의 기술내용을 독립항보다 구체적으로 한정하고 있는 종속항의 기술구성이나 ‘발명의 설명’에 나오는 특정의 실시 예 등으로 제한하여 해석할 수는 없으므로, 위와 같은 기재만으로 청구항 1의 반자동차폐부가 ‘문이 닫힌 상태에서 체크용핸들을 회동시키는것과 같은 수동의 잠금 동작에 뒤이어 자동으로 차폐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만을 의미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물론,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문언적으로 해석되는 것 중 일부가‘발명의 설명’의 기재에 의하여 뒷받침되고 있지 않거나 출원인이 그중 일부를특허권의 보호범위에서 의식적으로 제외하고 있다고 보이는 경우 등과 같이 특허청구범위를 문언 그대로 해석하는 것이 명세서의 다른 기재에 비추어 보아 명백히 불합리할 때에는, 출원된 기술사상의 내용과 명세서의 다른 기재 및 출원인의 의사와 제3자에 대한 법적 안정성을 두루 참작하여 특허권의 보호범위를제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겠으나, 앞서 본 바와 같이 출원 당시 공지기술 등과 대비하여 볼 때 청구항 1의 기술사상의 핵심은 센서에 의해 차폐부의동작이 개시되고 사람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차폐부를 하강시킬 필요 없이 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 차폐부가 자동으로 하강하여 차폐도어의 저면 바닥부의 틈새가 밀착되도록 하는 데 있는 이상, 청구항 1의 반자동차폐부가 ‘수동으로 문을 닫는 동작에 뒤이어 자동으로 차폐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그 보호범위를 해석하더라도 그 발명의 실체에 비추어 지나치게 넓다는 등의명백히 불합리한 사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결국, 청구항 1의 반자동차폐부(300)는 ‘수동으로 문을 닫는 동작에 뒤이어자동으로 차폐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그 보호범위를 해석할수 있는데,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20) 역시 힌지(21)에 의해 여닫이 되는 것으로서 사람의 동작에 의해 차폐문(20)의 폐쇄가 시작되고, 차폐문(20)이 닫힌 이후에 문센서(25), 신호체크밸부(31), 구동부(32)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 동작이수행되므로,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부(30)는 청구항 1의 반자동차폐부(300)와 그
구조 및 작용효과에 있어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없다.

⑶ 설령 원고의 주장과 같이 청구항 1의 반자동차폐부(300)를 ‘문이 닫힌상태에서 체크용핸들을 회동시키는 것과 같은 수동의 잠금 동작에 뒤이어 자동으로 차폐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본다 하더라도, 그 경우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부(30)와의 차이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별도로 수동의잠금 동작이 존재하는지 여부일 뿐이다. 즉, 청구항 1의 경우 문이 닫힌 상태에서 따로 수동의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고 이를 근접센서가 감지하여 신호체크부와 차폐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차폐 동작이 수행되는 데 비하여, 확인대상발명의 경우 문이 닫히게 되면 별도로 수동의 잠금 동작이 없더라도 문센서가 문의닫힘을 감지하여 신호체크부와 구동부에 의하여 자동으로 차폐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런데 청구항 1에 내재된 기술사상의 핵심은 센서에 의해 차폐부의 동작이개시되어 도어레일과 차폐도어의 저면 바닥부의 틈새가 밀착되도록 하는 데 있음은 앞서 본 바이고, 확인대상발명도 문센서가 문의 닫힘을 감지하여 차폐부를구동시킴으로써 문레일과 차폐문의 저면 바닥부의 틈새가 밀착되도록 하는 것인 만큼, 기술사상의 핵심에서 청구항 1과 아무런 차이가 없는 이상, 양 발명의과제 해결의 원리는 동일하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확인대상발명은 위와 같이 문이 닫힌 상태에서 또다른 수동의 잠금 동작이 필요 없도록 변경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수동 조작에 의하여 차폐부를 하강시키는 것이 아니라 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 차폐부가 자동으로 하강하여 문레일과 차폐문의 저면 바닥부 틈새가 밀착된다는 점에서 청구항 1과 실질적으로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나아가 청구항 1과 같이 문이 닫힌 상태에서 별도의 수동의 잠금 동작을 통해차폐부의 동작이 개시되도록 할지, 아니면 확인대상발명과 같이 문이 닫힐 경우별도의 수동의 잠금 동작 없이 곧바로 차폐부의 동작이 개시되도록 할지 여부는통상의 기술자가 각각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사항에 불과하고, 그러한 변경에 별다른 기술적 곤란성이 있다고 보기도 어려우므로, 확인대상발명과 같이 별도의 수동의 잠금 동작이 필요 없도록 변경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나 쉽게 생각해 낼 수 있는 정도의 것에 불과하다.

4) 소결론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확인대상발명은 청구항 1과 과제의 해결원리가 동일하고, 구성이 일부 변경되었다고 하더라도 청구항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며, 그와 같이 변경하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나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정도에 그친다고 하겠으므로, 확인대상발명과 청구항 1과 균등관계에 있어 청구항 1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나. 청구항 2 부분에 관한 판단
청구항 2는 청구항 1을 인용하는 종속항으로서, 청구항 1의 반자동차폐부(300)에 대하여, ‘차폐도어(200)가 도어프레임(100)에 대해 닫힌 상태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하며 근접센서(140)와 대응시 차폐구동부(320)를 동작시키도록 형성되는 체크용핸들(311)와, 상기 체크용핸들(311) 및 차폐구동부(320)의 전원을 단속하며 이송실린더(321)와의 연동을 조장하도록 제어부(312)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신호체크부(310)와; 상기 신호체크부의 제어부(312)에의해 체크용핸들(311)의 열림/닫힘 확인시 유기적으로 상, 하 연동되는 이송실린더(321)와, 상기 이송실린더(321)의 외측단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322)와,상기 지지플레이트(322)의 하단에 결합되는 탄성부재(323)와, 상기 탄성부재(323)의 저면에 위치되되 일측단이 차폐도어(200)의 바닥부(230)측 벽면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자유상태로 연장되어 이송실린더(321)의 상, 하 이송에 따라도어레일(110)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차폐용핑거(324)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차폐구동부(320)’로 한정하고 있다.
그런데 확인대상발명에는 위와 같이 추가 한정된 구성 중 ‘체크용핸들(311)’에대응하는 구성이 빠져 있으므로, 확인대상발명은 청구항 2의 보호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피고 역시 확인대상발명이 청구항 2의 보호범위에는속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결론 그렇다면 확인대상발명은 원고에 의하여 실시되고 있으며, 청구항 1의 보호범위에는 속하나, 청구항 2의 보호범위에는 속하지 않는다고 하겠으므로, 이 사건심결 중 이와 결론을 같이한 이 사건 특허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부분은 적법하고, 이와 결론을 달리한 청구항 2에 관한 부분은 위법하여 이를 취소하여야한다. 따라서 이 사건 특허발명의 청구항 1에 대한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어 이를 기각하고, 나머지 청구항 2에 대한 원고의 청구는 이유 있어 이를 인용하기로 한다.

 

 

7.png

 

8.png

 

9.png

 

10.png

 

11.png

 

12.png

 

13.png

 

14.png

 

15.png

 

16.png

 

17.png

 

18.png

 

19.png

 

20.png

 

21.png

 

22.png

 

23.png

 

[별지 2]
확인대상발명의 설명서 및 도면
1. 제품 명칭
차폐문

2. 이 사건 특허발명과 대비될 수 있는 확인대상발명의 기술분야확인대상발명은 병원의 MRI 실드룸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실내외 차폐를 도모하는 도어로서, 출입구에 단턱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면과 동일선상으로 이루어진 문레일을 형성하고, 저면 바닥부를 여닫이 방식으로 틈새공간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대, 침대, 휠체어의 운반이 용이하고, 차폐성능이우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3. 확인대상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 1a,b는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이 닫혀 있는 상태의 외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폐문(20)은 문프레임(10)에 의해 MRI 실드룸을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문프레임(10)은 사각 선단을 연결하는골조로서 내측에는 문수납홈(12)이 형성되고, 차폐문(20)이 힌지에 의해 여닫이됨에 있어서 닫힘시 외주면이 대응되며 그대로 수납되도록 형성된다. 하측에는문레일(11)이 차폐문의 바닥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실내 바닥면과 동일한높이 선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단턱이 없도록 한다.도 2a,b는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이 닫혀 있는 상태의 내부를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힌지(21)는 문프레임(10)의 문수납홈(12)으로 문 본체가 인출되며 여닫이 되도록 형성된다. 차폐문(20)의 저면 바닥부(23)는 문레일(11)을 마주보며 개방되도록 구비된다.차폐문(20)의 상측에는 문센서(25)가 문프레임(10)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고, 전면에는 열림스위치(34)가 형성되어 있다. 저면에는 차폐를 위하여 문레일(11)을 대면하여 구동부(32)가 구비되어 있다.
도 3 및 도 4a,b는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을 일부 분해한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폐문(20)의 측단부에는 키세트(22)가 구비되는데,키세트(22)는 힌지(21)에 의해 여닫이되는 문 본체의 개폐를 단속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문로킹부(13)와 대응되어 차폐문(20)이 문프레임(10)에 대해완전 잠금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도 4a에 따르면, 차폐문(20)에 외측 테두리 부분에 측방으로 상하에 2개의 키세트(22)가 상하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하방으로는 바닥부(23)에 구동부(32)가 구비되어 있다.키세트(22)의 상방에는 돌출된 문센서(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및 상단에는 돌출되는 핑거플레이트(24)가 문프레임(1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문프레임(10)의 양 측방 및 상방에는 핑거플레이트(24)와 마주보며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홈(14)의 내부에는 탄성접촉부(15)가 구비되어 있다.차폐문(20)이 닫히면 차폐문(20)이 문프레임(10)에 내입되면서 핑거플레이트(24)가 삽입홈(14)에 삽입된다.도 5a, b는 차폐문이 문프레임에 내입되며 닫히는 상태의 평면 단면(도 2a의A, B, C 섹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와 같이 차폐문(20)이 문프레임(10)에 접근되면서 차폐문(20)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핑거플레이트(24)는문프레임(10)에 형성된 삽입홈(14)을 향해 근접하게 된다. 삽입홈(14) 내에는 마주보는 판스프링 형상의 전도성 탄성접촉부(15)가 구비된다.도 5b와 같이 차폐문(20)이 문프레임(10)에 내입되어 닫히면, 삽입홈(14) 내로 내입된 핑거플레이트(24)는 한 쌍의 탄성접촉부(15) 사이로 끼워지며 양측방으로 접촉된다. 이로써 핑거플레이트(24)는 탄성접촉부(15)와 접촉되면서 차폐를 완성하게 된다.
도 5c와 같이, 핑거플레이트(24)는 판 형상으로 측방 및 상방 테두리에 형성되며, 핑거플레이트(24)는 차폐문(20)이 닫힐 때, 문프레임(10)과 밀착되면서테두리를 차폐하게 된다. 키세트(22)는 상하로 움직이면서 문로킹부(13)와 맞물리면서 차폐문(20)이 문프레임(10)에 밀착하여 닫히면, 핑거플레이트(24)가 문프레임(10) 측의 삽입홈(14)으로 삽입되면서 차폐가 되도록 한다.도 6a,b는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a, 도 5c, 도 10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문센서(25)는 문 상단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된 문센서(25)는 문프레임(10)에 형성된 내입 형상의 체크부(16)와의 상호 동작에 의해 개폐를 감지하게 된다.도 10b를 참조하면, (a)는 차폐문(20)이 열린 상태로서 문센서(25)가 펴지며외부로 최대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b)와 같이 차폐문(20)이 문프레임(10)에내입되는 순간, 문센서(25)는 체크부(16)에 안착되기 전에,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문이 닫힘을 감지하게 된다. (c)와 같이 차폐문(20)이 문프레임(10)에 완전히 내입되어 안착되는 경우에는, 문센서(25)도 체크부(16)의 내입 공간에 안착되며, 닫힌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문센서(25)에서 문이닫혔음을 감지하게 되면, 키세트(22)가 상방으로 이동되며 동작된다.즉, 도 6a와 같이 측방 돌출된 키세트(22)는 문로킹부(13)를 마주보며 내입된상태에서, 키세트(22)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7a,b 및 도 9를 참조하면, 문프레임(10)에는 문수납홈(12)이 구비되고, 그일측에는 차폐문(20)과의 닫힘 후 개폐를 단속하도록 형성되는 문로킹부(13)가구비된다. 문로킹부(13)는 차폐문(20)의 키세트(22)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문프레임(10)의 문수납홈(12) 일측에 형성된 문로킹부(13)에는 키세트(22)의 단부가 내입되도록 형성된다. 도 7b에 나타난 문로킹부(13)는 기울어진 곡선형의 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홈에 키세트(22)의 단부가 내입되어 상승하는 경우, 차폐문(20)과 문프레임(10)은 더욱 견고하게 밀착된다.키세트(22)가 문로킹부(13)와 체결되면서 락 상태가 되고, 차폐문(20)에 구비된 문센서(25)가 차폐문(20)이 완전히 닫혔음을 감지하게 된다. 이에 신호체크밸브(31)는 구동부(32)를 제어함으로써, 차폐문(20)의 저면 바닥부(23)와 문레일(11)의 틈새를 밀착시키도록 한다. 즉 구동부(32)는 실린더의 로드를 하방향으로 전진시켜 차폐용핑거가 문레일(11)에 밀착되도록 한다.도 8은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 하단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참조하면, 키세트(22)와 문로킹부(13)의 체결 이후에는, 차폐문(20)의 하단 바닥부(23)에 구비된 차폐부(30)가 차폐문(20)에 부설된 문센서(25)의 신호에 따라 신호체크밸브(31)가 제어되어 구동부(32)를 구동시켜 바닥부(23)와 문레일(11) 사이의 틈새를 밀착시켜 차폐문(20)의 내외부 차폐를 도모하게 된다.구동부(32)는 신호체크밸브(31)에 의해 연동하며 차폐문(20)의 저면 바닥부(23)와 문레일(11)의 틈새를 밀착시키도록 차폐문(20)의 개구(23a)된 바닥부(23)에 수납되는 것으로, 전원부, 공압공급장치에 의해 가동되는 실린더, 지지플레이트, 차폐용핑거가 구성되어 있다. 차폐문(20)의 바닥부(23)에 수납된 차폐부(30)의 차폐용핑거가 실린더의 신장에 의해 하강되며 문레일(11)과 맞닿음으로써 MRI 운전시 실드룸 내외간 차폐를 담당하게 된다.도 11 내지 도 13은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의 구성도 및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차폐문(20)에는 문센서(25)가 구비되고,문센서(25)는 신호체크밸브(31)와 연결된다. 공기압을 제공하는 컴프레셔(33)는문센서(25)를 통해 신호체크밸브(31)와 연결되고, 신호체크밸브(31)는 구동부(32)와 연결된다.
도 12는 문을 닫을 때의 신호체크밸브(31)의 구동부(32) 제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차폐문(20)이 닫히면 문센서(25)가 문프레임(10)에 접촉되면서 신호체크밸브(31)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때 컴프레셔(33)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이 신호체크밸브(31)의 폐쇄 제어에 따라서, 구동부(32)로 공급되면서, 구동부(32)의 실린더를 하방으로 전진시켜 폐쇄하게 된다.도 13은 문을 열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열림스위치(34)를 누르면신호체크밸브(31)를 다른 방향으로 제어함으로써 컴프레셔(33)의 공기압이 구동부(32)의 실린더를 상방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4. 확인대상발명의 구성
사각 선단을 연결하는 골조로써 실드룸의 출입구에 장착되되 상기 선단을 잇는 하단부에 형성되는 문레일(11)과, 사각 선단의 두께 방향 일측단에 형성되는문수납홈(12)과, 상기 문수납홈(12)의 일측에 문로킹부(13)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문프레임(10)과;상기 문프레임(10)의 문수납홈(12)으로 문 본체가 인출되며 여닫이되도록 형성되는 힌지(21)와, 상기 힌지(21)에 의해 여닫이되는 문 본체의 개폐를 단속하도록 형성되는 키세트(22)와, 상기 문 본체의 외주면 중 저면 바닥부(23)가 개구되되 상기 저면 바닥부(23)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에 형성되는 핑거플레이트(24)와, 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문센서(25)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차폐문(20) 과; 상기 차폐문(20)의 저면 바닥부(23)와 문프레임(10)의 문레일(11)의 틈새를밀착시켜 차폐문(20)의 내,외부차폐를 조장하도록 문센서(25)의 체크 유무를 확인하는 신호체크밸브(31)와, 상기 신호체크밸브(31)에 따라 연동하며 차폐문(20)의 저면 바닥부(23)와 문레일(11)의 틈새를 밀착시키도록 차폐문(20)의 개구된 바닥부(23)에 수납되는 구동부(32)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차폐부(30)가;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알아이 실드용 차폐문

5. 확인대상발명의 도면에 대한 간단한 설명
도 1a,b는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이 닫혀 있는 상태의 외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b는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이 닫혀 있는 상태의 내부 및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을 일부 분해한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확인대상발명의 문프레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는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 하단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이 문프레임에 닫히기 전후 상태를 측방에서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이 문프레임에 닫히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확인대상발명의 차폐문의 구성도 및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png

 

25.png

 

26.png

 

27.png

 

28.png

 

29.png

 

30.png

 

31.png

 

32.png

 

33.png

 

34.png

 

35.png

 

36.png

 

37.png

 

38.png

 

39.png

 

40.png

 

41.png

 

 


List of Articles
번호 사건번호 제목 분야 출원번호 법원명 날짜 조회 수
234 2013허10058 권리범위확인(특) 2013허10058 권리범위확인(특) file 특허/실용신안 제1008692호 특허법원 2020.06.12 46
233 2016허6333 거절결정(특) 2016허6333 거절결정(특) 특허/실용신안 제10-2014-0048768호 특허법원 2020.08.10 46
232 2017허721 거절결정(특) 2017허721 거절결정(특) 특허/실용신안 제10-2012-7015386호 거절결정(특) 2020.08.12 46
231 2015허7360 등록무효(특) 2015허7360 등록무효(특) 특허/실용신안 제756225호 특허법원 2017.10.26 47
230 2014허1259 거절결정(특) 2014허1259 거절결정(특) file 특허/실용신안 제10-2009-67015호 특허법원 2020.06.12 47
229 2014허3897 거절결정(특) 2014허3897 거절결정(특) 특허/실용신안 제10-2005-7017023호 특허법원 2020.06.15 47
228 2016허3785 등록무효(특) 2016허3785 등록무효(특) 특허/실용신안 특허 제374141호 특허법원 2020.08.10 47
227 2014후2696 등록무효(특) 2014후2696 등록무효(특) 특허/실용신안 제133686호 특허법원 2020.08.13 47
226 2014허5817 등록무효(특) 2014허5817 등록무효(특) file 특허/실용신안 제10-0656716호 특허법원 2020.06.16 48
225 2014허5244 거절결정(특) 2014허5244 거절결정(특) 특허/실용신안 2013원7278호 특허법원 2020.06.16 48
224 2014허8878 등록무효(실) 2014허8878 등록무효(실) file 특허/실용신안 제20-365414호 특허법원 2020.06.17 48
223 2015허3412 권리범위확인(특) 2015허3412 권리범위확인(특) file 특허/실용신안 제601190호 특허법원 2020.06.22 48
222 2016허1710 거절결정(특) 2016허1710 거절결정(특) file 특허/실용신안 제10-2012-7030207호 특허법원 2020.06.23 48
221 2016허4955 권리범위확인(특) 2016허4955 권리범위확인(특) file 특허/실용신안 제1128399호 특허법원 2020.06.23 48
220 2017허5580 등록무효(특) 2017허5580 등록무효(특) 특허/실용신안 제875544호 특허법원 2020.08.13 48
219 2017허1304 권리범위확인(특) 2017허1304 권리범위확인(특) 특허/실용신안 제1230156호 특허법원 2020.08.13 48
218 2014허3071 권리범위확인(특) 2014허3071 권리범위확인(특) file 특허/실용신안 제981761호 특허법원 2020.06.15 49
217 2014허1525 거절결정(특) 2014허1525 거절결정(특) file 특허/실용신안 제10-2010-92268호 특허법원 2020.06.15 49
216 2014허7561 거절결정(특) 2014허7561 거절결정(특) file 특허/실용신안 제10-2013-11363호 특허법원 2020.06.19 49
» 2014허3712 권리범위확인(특) 2014허3712 권리범위확인(특) file 특허/실용신안 제771429호 특허법원 2020.06.19 4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